6학년 1반

안녕하세요. 2020년 6학년 1반이 된 것을 환영합니다.

바른 인성을 가진 학생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성이 먼저다!
  • 선생님 : 이승은
  • 학생수 : 남 16명 / 여 11명

사회과제 10차

이름 이승은 등록일 20.04.12 조회수 71
첨부파일
사회과제 10차.hwp (122.5KB) (다운횟수:47)

아래의 글을 빈공책이나 A4용지에 똑같이 한 번 적습니다.

(*한글파일을 첨부하니 출력해서 보고 적을 사람은 그림은 빼고 적으세요.) 

 

 

 

행주 대첩

조선과 명의 연합군이 한양을 되찾으려고 이동했다.

( 권율 )은 행주산성으로 군사를 이동시켜 전투를 준비했다.

관군, 의병, 승병이 힘을 합해 ( 승리 )를 거뒀다.

행주 대첩 이후의 상황

일본군은 강화 회담이 실패하자 다시 조선을 침입했다( 정유재란 ).

이순신은 명량 해협에서 뛰어난 작전을 구사해 큰 승리를 거뒀다( 명량 대첩 ).

( 도요토미 히데요시 )가 사망해 일본군이 조선에서 철수하면서 전쟁은 끝이 났다.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전의 상황

주변 나라의

상황

명의 세력이 약해지고 여진이 후금을 세워 명을 위협했다.

명은 후금을 물리치려고 조선에 ( 군사 ) 지원을 요청했다.

광해군의

외교 정책

명과 후금 사이에서 ( 중립 외교 )를 펼치며 전쟁에 휘말리지 않으려고 했다.

정묘호란

발생

중립 외교 정책을 비판한 세력은 광해군을 쫒아내고 ( 인조 )

왕으로 세웠다.

( 후금 )은 명을 돕는 조선에 쳐들어왔다.

결과

조선과 후금이 ( 형제 ) 관계를 맺는다는 조건으로 전쟁을 끝냈다.

병자호란

발생

후금은 나라 이름을 청으로 고치고 임금과 신하의 관계로 바꾸자고 했다.

조선이 청의 요구를 거절하자 ( )은 조선을 다시 침입했다.

과정

인조는 ( 남한산성 )으로 피신했고, 성안의 신하들은 청군과 끝까지

싸워야 한다는 견해와 화해하자는 견해로 나뉘었다.

결국 인조는 남한산성에서 나와 ( 삼전도 )에서 청 태종에게 항복했다.

결과

조선과 청은 ( 신하와 임금 )의 관계를 맺었다.

소현 세자와 봉림 대군, 많은 대신과 백성이 청에 ( 인질 )로 끌려갔다.

 

 

영조의 개혁 정책

탕평책을 펼쳤고, 이를 알리는 ( 탕평비 )를 세웠다.

( 세금 )을 줄이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켰다.

많은 책을 편찬해 ( 학문 )( 제도 )를 정비했다.

정조의 개혁 정책

영조의 뒤를 이어 ( 탕평책 )을 실시했다.

창덕궁 후원에 ( 규장각 )을 설치하고 이곳에서 젊은 학자들에게 여러 학문을 연구하게 했다.

백성들이 자유롭게 ( 경제 )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고쳤다.

새로운 과학 기술을 응용해 ( 수원 화성 )을 건설하고 상업의 중심지로 삼으려 했다.

( 국왕 )을 중심으로 정치를 운영해 나가고자 했다.

수원 화성 건설에 숨어 있는 과학 기술

수원 화성을 쌓은 방법, 설계도 등 수원 화성 건설에 관한 내용이 ( 화성성역의궤 )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거중기, 녹로 등 당시의 최신 과학 기구들을 사용했다.

- ( 거중기 ): 도르래를 이용해 적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리는 장치

- ( 녹로 ): 도르래를 이용해 물건을 높은 곳으로 옮기는 장치

실학의 의미와 등장 배경

의미

( 실생활 )에 필요한 것을 연구하는 학문

백성의 생활을 ( 안정 )시키고 나라의 ( )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

등장 배경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이후 백성의 생활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기존의 학문이 ( 사회 )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 현실 )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학문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다음글 사회과제 9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