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0년 6학년 1반이 된 것을 환영합니다.
바른 인성을 가진 학생이 되기를 바랍니다.
사회과제 6차 |
|||||||||||||||||||||||||
---|---|---|---|---|---|---|---|---|---|---|---|---|---|---|---|---|---|---|---|---|---|---|---|---|---|
이름 | 이승은 | 등록일 | 20.03.29 | 조회수 | 62 | ||||||||||||||||||||
첨부파일 |
|
||||||||||||||||||||||||
아래의 글을 빈공책이나 A4용지에 똑같이 한 번 적습니다. (*한글파일을 첨부하니 출력해서 보고 적을 사람은 그림은 빼고 적으세요.)
■ 고려청자의 특징 • 청자를 만드는 기술은 ( 중국 )에서 들어왔으나, ‘상감’이라는 공예 기법을 도자기에 적용해 상감 청자라는 독특한 예술품을 만들어 냈다. • 만들기가 어렵고, 가치가 높은 제품이라 왕실과 ( 귀족 )들이 주로 사용했다. • 주전자, 의자, 찻잔, 베개, 향로 등 다양한 용도로 쓰였다. ■ 고려청자를 통해 알 수 있는 사람들의 생활 모습 • 고려의 도예 기술이 얼마나 뛰어났는지 알 수 있다. - 청자는 다른 종류의 ( 흙 )을 사용해야 했기 때문이다. - 청자를 구울 때 높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 가마 )를 만드는 기술과 불을 다루는 기술이 발달해야 했기 때문이다. - 광택을 내고 단단하게 하기 위한 ( 유약 )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야 했기 때문이다. • 당시 귀족들의 화려한 문화를 엿볼 수 있다. ■ 대장경에 대해 알아보기 • 불교 ( 경전 )을 모두 모아 놓은 것으로, 불교에 관한 지식 수준이 매우 높아야 만들 수 있다. • 고려 사람들은 외적의 침입과 같은 큰일이 생기면 ( 부처 )의 힘에 의지해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대장경을 만들었다. ■ 초조대장경과 팔만대장경
■ 팔만대장경판의 특징 • 8만여 장의 ( 목판 )에 양면으로 불경이 새겨져 있다. • 초조대장경을 바탕으로 송, 거란에서 들여온 대장경과 비교하고 교정하여 만들었다. • 글자가 고르고 틀린 글자도 거의 없어 고려의 목판 제조술, 조각술, 인쇄술 등이 매우 뛰어났음을 보여 준다. • 현재 합천 해인사 ( 장경판전 )에 보관되어 있다. • 200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팔만대장경판을 만드는 과정
■ 목판 인쇄술의 특징 • 같은 책을 ( 많이 ) 인쇄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 중간에 글자가 틀리면 새 나무에 처음부터 다시 새겨야 한다. • 목판을 제작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 갈라지거나 휘어지는 ( 나무 )의 성질 때문에 보관하기 어려웠다. ■ 금속 활자 인쇄술의 특징 • 중간에 글자가 틀려도 활자를 다시 조합해서 쉽게 만들 수 있다. • ( 판 )을 새로 짤 수 있어 여러 종류의 책을 만드는 데 효율적이다. • 금속으로 만들어져 쉽게 ( 마모 )되지 않고 보관이 용이하다. • 정보의 생산과 유통으로 이어지지 못해 사회 변화에 끼친 영향력이 크지 않았다. |
이전글 | 사회과제 7차 |
---|---|
다음글 | 사회과제 5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