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반

안녕하세요. 2020년 6학년 1반이 된 것을 환영합니다.

바른 인성을 가진 학생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성이 먼저다!
  • 선생님 : 이승은
  • 학생수 : 남 16명 / 여 11명

사회과제 4차

이름 이승은 등록일 20.03.25 조회수 67
첨부파일
사회과제 4차.hwp (473KB) (다운횟수:46)

아래의 글을 빈공책이나 A4용지에 똑같이 한 번 적습니다.

(*한글파일을 첨부하니 출력해서 보고 적을 사람은 그림은 빼고 적으세요.)

 

 


■ 후삼국의 성립

• 신라 말 귀족들의 왕위 다툼으로 정치가 혼란해지자, ( 지방 )에서는 새로운 정치 세력인 호족이 등장했다.

• 여러 호족 중에서 세력을 키운 견훤과 궁예는 나라를 세웠다.

- 견훤은 완산주를 도읍으로 ( 후백제 )를 세웠다(900년).

- 궁예는 송악을 도읍으로 ( 후고구려 )를 세웠다(901년).

• 신라 말에는 나라가 신라, 후백제, 후고구려로 나뉘어 후삼국을 이루었다.


■ 왕건의 고려 건국

• 송악(개성)의 호족이었던 왕건은 ( 궁예 )의 신하가 되어 후고구려의 건국을 도왔다.

• ( 후백제 )와의 여러 전투에 참여해 나주 지역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공을 세워 높은 

  지위에 올랐다.

• 궁예가 신하를 의심하고 죽이며 일부 호족들을 억압하자 궁예를 몰아내고 ( 고려 )를 

  세웠다(918년).


■ 왕건의 후삼국 통일

• 왕건은 한때 후백제와 벌였던 전투(공산 전투)에서 패배해 위기를 겪었으나, 몇 년 뒤 전투(고창 전투)에서는 크게 승리했다. 

• ( 신라 )가 스스로 고려에 항복해 왔다.

• 견훤의 자식들 사이에서 왕위 다툼이 일어나 힘이 약해진 ( 후백제 )를 물리쳤다.

• 936년, 후삼국을 통일했다.


■ 새로운 사회를 위한 왕건의 정책

• 불교를 장려했다.

• 백성의 ( 세금 )을 줄였다.

• 가난한 사람들이 굶주리지 않도록 힘썼다.

• 호족의 딸들과 ( 결혼 )해 호족을 자신의 편으로 만드는 등의 방법으로 호족을 적절히 견제하되 존중했다.

• 거란이 발해를 멸망시키자 발해 유민을 받아들였다.

• ( 북쪽 )으로 점차 영토를 넓혀 나갔다.


■ 거란의 성장과 고려의 대응

• 거란은 당이 멸망한 이후 당의 북쪽 지역에서 세력을 키워 나라를 세웠다.

• 거란은 여러 방면으로 세력을 확장하며 ( 발해 )까지 멸망시켰다.

• 거란이 ( 발해 )를 멸망시키자 고려는 거란을 경계했고, 송이 건국된 이후에는 송과 

  우호적으로 지내면서 거란을 더욱 경계했다.


■ 거란의 1차 침입과 서희의 외교 담판

거란의 침입과 서희의 대응

• 거란은 고려와 송의 관계를 끊으려고 고려를 침입했다.

• 서희는 거란의 침입 의도를 파악하고 적의 진영으로 가서 ( 소손녕 )과 담판을 벌였다.

서희의 주장

• 고려는 고구려를 ( 계승 )해 고구려의 옛 땅에 세워진 나라이므로 

  거란을 침범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 고려가 거란과 교류하지 못하는 것은 ( 여진 )이 막고 있기 때문이므로, ( 여진 )을 쫓아내고 도로를 통하게 해 준다면 거란과 교류할 수 있다.

서희 외교 담판의

결과

• 고려는 송과 관계를 끊고 거란과 교류할 것을 약속했다.

• 거란이 고려에서 물러났다.

• 고려는 압록강 동쪽의 ( 강동 6주 )를 차지하게 되었다.

 

■ 거란의 2차 침입과 고려의 대응

• 고려는 한때 ( 개경 )을 빼앗기는 어려움을 겪었다.

• 고려는 돌아가는 거란을 끈질기게 공격해 많은 피해를 주었다.

이전글 사회과제 5차
다음글 사회과제 3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