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2반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너도 그렇다. -풀꽃 나태주-

존중하는 5학년 2반, 존중하는 선생님
  • 선생님 : 권민경
  • 학생수 : 남 16명 / 여 16명

5학년2반 14변 변정혜(은신별신제)

이름 변정혜 등록일 18.12.12 조회수 22

내가 찾은 우리지역 음악 문화재:

은산별신제

 

종 목: 중요무형문화재  제9호   
지 정 일:1960.02.15
소 재 지: 충남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은산별신제는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 은산리 마을 사당인 별신당에서 열리는 제사를 말한다.

옛날 은산마을에 병이 돌자 많은 사람이 죽으니 그 사람들의 죽은 넋을 위로하고 마을의 풍요와 평화를 기원하기 위해 은산별신제를 시작하여 지금까지 이루었다. 

 

별신제는 3년에 1번씩 1월 또는 2월에 열리고,여러 나라 사름들도 참여하며 나이 상관없이 다 참여한다. 제사를 준비하는 . , 대장, 중군, 패장, 사령 등 군대조직의 이름으로 불리워지는데 이것은 은산별신제가 장군제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제물을 준비하는 화주는 제물에 부정이 타지 않도록 조심하고, 제사에 쓰일 우물에 멍석을 덮고 주위에 금줄을 친 후 노랗고 검은 흙을 뿌려 부정의 접근을 막는다. 마을 장승 옆에 세워 둘 나무를 베는 ‘진대베기’를 하고, 신에게 올릴 종이꽃을 만들어 제물과 함께 당집으로 향하는데이때 꽃은 종이 꽃이였다고 한다. 제물을 나르는 사람들은 부정을 막기 위해 입에 백지를 문다. 제사는 저녁에 시작해서 새벽에 끝나는데, 무당이 굿을 한 후 마을로 내려와 마을의 번영을 위해 거리제를 열고 마을 동서남북에 장승을 세우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은산별신제는 백제 군사들의 넋을 위로하고, 마을의 풍요와 평화를 기원하는 향토축제입니다.

인산깊었던 적은?:마을에 병이 돌아 죽은 사람들의 넋을 위해 제사를 지냈던 마을사람들의 마음이 따뜻한 느낌이 든다.그리하여 지금까지 은산별신제를 해온 은산마을이 대단하다고 생각이 든다.

첨부 이미지

 

출처:

 

 

 


이전글 비밀글 구나연_미완성
다음글 비밀글 6조 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