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 |
|||||
---|---|---|---|---|---|
이름 | 배상은 | 등록일 | 16.03.17 | 조회수 | 81 |
정약용에 대해 성장배경
* 태어난 때 : 영조 38년에 태어남. - 그가 9세였을 때,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아버지 아래에서 세 형과 더불어(생애) 글 공부를 하였다. 사상
* 조선후기의 실학을 완성하였다. 종래 유학에 대한 전면적인 고증과 새로운 합리적 해석을 함. 과학적이고 자주적인 실학사상 전개. * 유교적 이상국가론 : 토지의 불균등한 소유, 대지주들에게 토지 집중되는 현상 비판 -> 토지의 공동소유, 공동경작, 균등 분배를 통한 경제적 평등 실현 주장. * 정치사상 : 아울러 민권 사상을 이론화 시켰다. "통치자는 백성을 위해 있는 것이다"라는 말을 하였다. * 문화 주체론 : 자주적인 문화 발전 강조 * 과학적 세계관 *경제 사상 : 경제 개혁사상 중에서도 가장 정채를 발휘하는 것은 여전론에서 표현된 그의 전제 개혁사상이다. 업적
이헌길의 《마진기방》을 바탕으로 한층 발전된 홍역 치료서 《마과회통》을 집필 이가환과 이승훈과 함께 실학 사상의 토대. 목민심서를 저술, 지방정치의 개혁방안을 주장. 경세유표를 저술, 중앙정치의 개혁방안을 주장. 흠흠신서를 저술, 형옥의 개혁방안을 주장. 거중기를 개발,수원화성을 건축하는데 큰 도움을 줌. 여전론을 주장, 토지제도의 개혁의 방향을 정함. 저서
목민심서(牧民心書) , 경세유표(經世遺表) , 흠흠신서(欽欽新書) 마과회통(麻科會通) , 모시강의(毛詩講義) , 매씨서평(梅氏書平) 상서고훈(尙書古訓) , 상례사전(喪禮四箋) ,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
이전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