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6반

안녕하세요. 여러분! 항상 건강하고 밝은 우리반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선생님 : 기성준
  • 학생수 : 남 12명 / 여 13명

정약용

이름 배상은 등록일 16.03.17 조회수 81

정약용에 대해

성장배경

* 태어난 때 : 영조 38년에 태어남.
* 출생지 : 경기도 남양주시 마재
* 가족 관계 : 아버지는 진주 목사를 지냈고, 어머니 해남 윤씨는 고산 윤선도의 후손이다. 형이 세명 있었다.
* 성장 과정 :

- 그가 9세였을 때,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아버지 아래에서 세 형과 더불어(생애) 글 공부를 하였다.
- 14세 되던 해 아버지를 따라 서울로 올라와 이가환, 이승훈 등의 학자들과 교우.
- 성균관 학생을 거쳐 과거에 합격하고 규장각에서 학문적 재능을 쌓았고, 과학적 지식과 재능을 발휘해 한강에 배다리를 가설했다. 그리고 정약용은 화성 축조에서의 거중기를 창제하고 실용화해 백성들의 노고를 덜어주고 건설 비용 절감 효과도 거두었다.
- 경기도 암행어사로 임명. 탐관오리들의 부패를 폭로.
- 천주고 박해 사건(신유사옥)이 있을 때, 그는 천주교도로 몰려 귀양살이를 하게 된다. 18년 동안의 장기와 간진의 유배지에서 보냄. 강진과 장기의 유배지에서 보냄.(39~ 56세 동안 유배생활) 유배기간 동안 학문을 연구하고 유학을 철저히 고증하였다.
- 유배지 강진에서 고향으로 돌아와 74세에 세상을 떠남.

사상

* 조선후기의 실학을 완성하였다. 종래 유학에 대한 전면적인 고증과 새로운 합리적 해석을 함. 과학적이고 자주적인 실학사상 전개.

* 유교적 이상국가론 : 토지의 불균등한 소유, 대지주들에게 토지 집중되는 현상 비판 -> 토지의 공동소유, 공동경작, 균등 분배를 통한 경제적 평등 실현 주장.

* 정치사상 : 아울러 민권 사상을 이론화 시켰다. "통치자는 백성을 위해 있는 것이다"라는 말을 하였다.

* 문화 주체론 : 자주적인 문화 발전 강조

* 과학적 세계관

*경제 사상 : 경제 개혁사상 중에서도 가장 정채를 발휘하는 것은 여전론에서 표현된 그의 전제 개혁사상이다.

업적

이헌길의 《마진기방》을 바탕으로 한층 발전된 홍역 치료서 《마과회통》을 집필

이가환과 이승훈과 함께 실학 사상의 토대.

목민심서를 저술, 지방정치의 개혁방안을 주장.

경세유표를 저술, 중앙정치의 개혁방안을 주장.

흠흠신서를 저술, 형옥의 개혁방안을 주장.

거중기를 개발,수원화성을 건축하는데 큰 도움을 줌.

여전론을 주장, 토지제도의 개혁의 방향을 정함.

저서

목민심서() , 경세유표() , 흠흠신서()

마과회통() , 모시강의() , 매씨서평()

상서고훈() , 상례사전() , 상서지원록(錄)

이전글 비밀글 김만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