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반

즐거운 생활과 공부를 합니다. 

재미있는 학교생활
  • 선생님 : 한정욱
  • 학생수 : 남 1명 / 여 5명

논설문

이름 권기영 등록일 19.10.23 조회수 23

                                                                                      우리나라 고령화가 빠른 이유

  우리나라는 아이를 낳으면 주는 서비스가 좋지 않아 경제적으로 키우기 힘들어서 점차 아기를 낳는 사람들이 줄어드는 것 또한 고령화가 빨라지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저는 아이를 낳을 때 주는 서비스나 혜택을 좀 더 많이 주면 경제적으로도 힘들지 않게 돼서 고령화가 줄어드는 동시에 저출산 문제도 한 번에 해결 될 것입니다. 제가 이렇게 될거라 한 까닭은

 

  첫 번째, 일단 고령사회 진입이 된 계기는 우리나라는 6.25전쟁 직후의 출생자의 급증에 따름과 함께 이후 세대의 출산율이 낮기 때문입니다. 결국 고령사회라는 것은 비율상 65세 이상의 노인인구의 비율이 20%이상으로 굉장히 높기 때문이죠. 이는 우리나라만 적용되는 문제가 아닌 전세계적으로도 피해를 많이 곳곳에서 받았겠지만 다만 출산율이 우리나라가 매우 저조하기 때문이겠죠.

 

  두 번째,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수명 연장이라고, 의학 기술의 발달은 평균 수명이 연장되었다고 보는게 맞겠죠. 그렇다보니 태아도 잘 치료받고 살 수 있지만 노인분들도 수명이 더 연장이 되다보니 노인 인구수가 더 많아지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낮은 출산율과 68년생~55년생의 베이비붐 세대의 65세 진입이 고령사회 진입 요인이고 (2017년 예상) 타 국에 비하여 고령사회 진입이 빠른 이유는 인구감소 정책에 따라 급격히 낮아지는 출산율과 베이비붐 세대의 의료혜택 수혜율이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나 우리는 고령사회가 빠르므로 아이를 낳는 사람들에게 혜택을 더 주어 경제적으로 힘들지 않게 하면 저출산과 소령화가 동시에 줄어들 것입니다.

 

이전글 우리나라의 악플을 쓰지 말자! (5)
다음글 논설문 (저출산)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