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1반 친구들과 함께 찾을 네잎클로버...
☆ 생각에는 긍정을... ★ 마음에는 배려를...
☆ 행동에는 책임을... ★ 꿈을위해 노력을...
사설노트 여섯번째 : 살빼기의 비극 |
|||||
---|---|---|---|---|---|
이름 | 김기훈 | 등록일 | 16.05.23 | 조회수 | 73 |
고구마 1개, 닭가슴살 조금, 우유 1잔. ‘국민 첫사랑’ 가수이자 배우인 수지의 한 끼 식사다. 가수 아이유는 운동을 함께하면서 사과 1개, 고구마 2개, 단백질 음료 1잔으로 하루 종일 버틴다. 인터넷에 떠도는 연예인의 다이어트 식단을 보면 과연 이렇게 먹고 일상생활이 가능한지 의아할 지경이다. 날씬함을 넘어 깡마른 몸매를 갖기 위해 과도한 다이어트를 하는 것은 스타만이 아니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5 건강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아동·청소년(만 5∼17세)의 과체중 비율은 여자 14.1%, 남자 26.4%로 나 타났다. 다른 나라의 경우 남녀 격차가 거의 없는데 유독 우리나라만 OECD 최고 수준인 1.9배의 차이를 보였다. 남자보다 여자가 체중 조절 압박을 그만큼 많이 받는다는 증거다. 지난해 국내 온라인 조사에서도 여학생 2명 중 1명꼴로 다이어트를 시도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여자는 무조건 날씬하고 예뻐야 한다’는 외모지상주의(외모를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의 정서적 압박감이 심각하다. 정상 체중인데 스스로 뚱뚱하다고 여기는 여학생이 많다는 것이 걱정스럽다. 다이어트 시작 연령도 초등학교 고학년까지 내려가는 추세다. 성장기에 무리한 다이어트를 하면 훗날 골다공증 등 몸에 골병이 드는 것은 물론이고 우울증 같은 마음의 병까지 따라온다. 문제는 아무리 이런 얘기를 해봤자 10대의 다이어트 열풍이 수그러들지 않는다는 점이다. 미디어를 통해 아이돌이나 모델 같은 체형을 꿈꾸도록 부추기는 어른들 책임이 크다. 유럽은 일찌감치 거식증(먹는 것을 심각할 정도로 두려워하거나 거부하는 증상) 같은 섭식 장애(음식 섭취와 관련된 심리적 장애)를 일으키는 다이어트를 사회 문제로 받아들여 국가 차원에서 관련 업계에 대한 압박에 나섰다. 키와 몸무게의 상관관계를 재는 체질량지수(BMI)란 것이 있다. 프랑스는 BMI 18(키 175cm에 몸무게 56kg 정도) 이하 모델을 무대에 세우면 6개월 징역형까지 내리는 법을 만들었다. 스페인도 BMI 하한선(더 이상 내려갈 수 없는 한계선)이 있다. 이탈리아의 경우 건강증명서를 내야 무대에 설 수 있다. 몸과 마음을 학대하는 무모한 다이어트의 비극을 없앨 국민 ‘운동’이라도 나와야 할 시점이다.
1. 국어사전을 사용하여 모르는 단어를 찾아 봅시다. 2.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의 과체중 비율에서 남녀격차가 다른 나라에 비해 크게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본문에서 찾아 써 보세요. 3. 정상체중인데도 "나는 너무 살이 찐 것 같다." 면서 아이돌 가수들의 식단을 따라 하려는 어솜이. 이런 어솜이에게 어떤 종을 해주면 좋을지 나의 조언을 써 보세요.
|
이전글 | 사설노트 일곱번째 : 노벨상과 토론 없는 한국 |
---|---|
다음글 | 사설노트 다섯번째 : 박태환과 이중처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