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1반

4학년 1반 친구들과 함께 찾을 네잎클로버...

☆ 생각에는 긍정을...    ★ 마음에는 배려를...

☆ 행동에는 책임을...    ★ 꿈을위해 노력을...

 

 

 

 

 

꿈을 향해 하이파이브!!!
  • 선생님 : 김기훈
  • 학생수 : 남 11명 / 여 12명

사설노트 네번째 : 테슬라의 전기차

이름 김기훈 등록일 16.04.25 조회수 92

 

미국의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모터스가 2017년 말 출시할 보급형 세단 모델3’의 반응이 폭발적이다. 전기차를 대중화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 것인지 세상의 관심이 엄청나다.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 나라에서 사흘 만에 24만 대가 사전 계약으로 팔렸다. 테슬라는 세단인 모델S’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X’를 출시했으나 비싼 가격 때문에 대중화엔 한계가 있었다. 모델3는 앞선 모델의 절반 가격(35000달러·4200만 원)에 불과해 이참에 전기차나 타 볼까라고 생각하도록 하는 식으로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를 자극했다. 테슬라는 제너럴모터스나 포드 같은 전통적인 자동차회사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혁신과 창조라는 실리콘밸리(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첨단기술 연구단지)의 정신을 바탕으로 한다.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영화 아이언맨의 모델로 알려진 괴짜 공학도. 온라인 결제 시스템인 페이팔을 창업해 이베이(인터넷 경매사이트)로 팔아넘겨 졸지에 엄청난 부자가 되자 어렸을 때부터의 꿈이었던 친환경 에너지와 우주로 달려갔다. 그의 꿈은 테슬라모터스와 우주로켓 발사체 기업 스페이스X로 결실을 보았다.

전기차의 핵심 경쟁력은 배터리다. 한 번 충전해 수십 km밖에 못 가면 불편해서 전기차를 타고 다니려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머스크는 주택용 태양광발전 시설 솔라시티를 운영해 그 노하우로 배터리의 성능과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모델S는 한 번 충전해 346km를 달린다. 테슬라는 2014년 자신들이 가진 모든 특허를 공개했다. 특허를 경쟁 회사에 공개해 업계 자체를 키우자는 상생(함께 사는) 전략인 셈이다. 당시 머스크는 짝퉁 테슬라를 만들어도 괜찮다고 큰소리를 쳤다.

기존의 틀을 깨고 산업 생태계를 바꿔 새 시장을 만들어내려는 테슬라의 전략은 아이폰을 성공시킨 애플과 닮은꼴이다. 테슬라는 모델3의 출시를 앞두고 사전 계약으로 자금을 모은다. 공장엔 컨베이어벨트가 없으며 로봇이 조립을 한다. 머스크는 칸막이 없는 사무실에서 일하며 전 직원에게 스톡옵션(직원에게 회사의 주식을 낮은 가격에 사서 처분하게 하는 권리)을 제공했다.

테슬라는 전기차를 단순히 조립 생산만 하는 게 아니다. 자동차업의 생태계와 문화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대장정에 나섰다.

 

1. 국어사전을 사용하여 모르는 단어를 찾아 봅시다.

2. 본문에서 전기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품은 무엇일까요? 그 부품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3. 우리 가족이 테슬라모터스에서 나온 전기차를 타고 여행을 떠난다면? 전기차를 한 번 충전했을 때 346km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이 차를 타고 어떤 여행지로 가고 싶은지 써 보세요.

 

이전글 사설노트 다섯번째 : 박태환과 이중처벌
다음글 사설노트 세번째 : 군대의 '다나까 화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