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3반

미리미리 준비하는 유비무환 어린이들과 함께 만드는 6학년 3반 입니다. 
유비무환 어린이
  • 선생님 : 권태형
  • 학생수 : 남 11명 / 여 8명

김강현 발표자료

이름 *** 등록일 22.04.13 조회수 15
첨부파일
2218543A5887D04819.jpeg



32699_45319_4824
한복이 기록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사례는 고구려 벽화에서다. 기본 구조는 상의, 허리띠, 하의, 모자(또는 두건)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후 차츰 변화하여 상의가 짧아지고 허리띠는 고름으로 간소화 되었으며 두건은 다른 형태의 모자로 대체하였다. 이후 만주족 복식을 수입하여 만든 마고자와 서양 복식을 수입하여 만든 조끼를 추가하여 지금의 한복 형태가 완성되었다. 여기에 한복을 현대 문화에 맞게 크게 간소화한 생활한복은 고름이 단추로 대체되고 소매가 줄어드는 등 일상 생활에서도 더욱 입기 편하도록 만든 형태이다.한복(韓服, 문화어: 조선옷)은 고대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대한민국의 고유한 의복이다.[1][2] 한복의 기본적인 형태는 고대 북방민족의 스키타이계 복식이 원류인 호복이다. 대다수의 평민들은 흰색옷을 즐겨 입었으며 한복의 기본 구성인 치마와 저고리, 바지 등은 변치 않고 오랜 세월 동안 기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3] 호복으로써 한복에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기본적으로 활동성을 중시하며 딱 붙는 옷이 아니다. 또한 천 자체를 보면 직선형이지만 몸에 입을 경우 곡선이 살아나게 도와주는 미적 특징도 나타나는데[4][5] 이는 주머니가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복은 호복이 아닌 기모노나 한푸 등 이웃나라들의 전통옷차림과는 달리, 저고리와 치마, 즉 윗아래옷이 분리[4]되어있어, 형태상으로구성d98c00cf71f915c9fa399825fa1d2167d906b7140fec63aa18e2bb8a8222f0eb131167c8c876b606ebb2ad1bdee629586ce6ce29d2f3378af36f1631f6081c5513276d2332e0bdd259020d24bd027467667f66c29673af07194372aa2040c9d0.jpe

6c87fdbf6a89d1ccdca585cc01328f813df525ca7b1825d254886b0ae7547156f37058afe8ad9bb3461d7462a02e3eba484a2a8429d9f406744ba78c12dca10fccea7db0c2f70f9ad8b2f14d8c896f9e0f967f4ab38808396bd45c0dec18a58eaa96


86efed5133737df29e38ea18d18336a4694b236aa6afca972c09459d150fda1aaae83b30dc0605b249d7eb6789368f4208857ce78d482a1d9d947fa8e572953e5c81f926d4d5b8f9bca50e2cecd1b5f97179506bdd5ac60312448ab64d18a2d3def8
  • 양직공도 속 삼한 사신들. 왼쪽부터 순서대로 신라, 고구려, 백제다.1e10cbde392ac151f1294dda4615e615bde68ea0af818008a5d9eaca3ebe008ad056f79ea9efb5d86f99617880166f434d01da876ca735adcba0787176ef29f1b74793d7508f55adf48a4e3912fab898852440e6bfd87ebbd24e8e2315c46b6e.jpe

  • 사규삼: 남자 어린이가 관례 전에 입던 평상복이다. 땋은 머리에 복건을 쓰고 사규삼을 입으며 조대를 띤다.

힌복의 종류는 이것말고도 여러개가있다.

 

이전글 김사랑
다음글 배은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