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봉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태풍특보시 국민행동요령, 승강기 안전교육 자료
작성자 오경자 등록일 16.07.06 조회수 35
첨부파일

태풍특보시 국민행동요령

태풍특보시 대비요령

 TV나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알아둡니다.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경작지 용·배수로를 점검하러 나가는 것은 위험하니 하지 말아야 합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의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선박을 묶거나 어망·어구 등을 옮기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Q&A≫

Q : 장마철이 지나면 바로 태풍이 올라오는데 태풍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A : 태풍 경로에 있는 주민들은 라디오, TV를 통해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며, 하수구, 배수구, 집주변 축대․담장이 붕괴 우려가 있는지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은 사전에 단단히 고정하여야하며, 특히 침수․산사태 위험이 있는 주민은 대피장소, 비상연락 방법을 미리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태풍 오기 전에는

 TV나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알아둡니다.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사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니다.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태풍이란?
태풍은 북태평양 남서해상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 중에서 중심 최대풍속이 1초당 17m 이상의 폭풍우를 동반하고 있는 기상현상을 말합니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은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운전 중에는 감속운행 합니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 안에 있도록 합니다.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해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않도록 합니다.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니다.
 집 주변이나 경작지의 용·배수로를 점검합니다.
 어업활동을 하지 말고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어야 합니다.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해야 합니다.
 주택주변에 산사태 위험이 있으면 미리 대피해야 합니다.
 위험한 물건이 집 주변에 있다면 미리치웁니다.
 논둑을 미리 점검하고 물꼬를 조정합니다.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고 어망·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니다.


  태풍 주의보 때는

1. 도시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의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니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말아야 합니다.
 운전 중에는 감속운행 합니다.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급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대피할 때는 수도, 가스, 전기를 반드시 차단해야 합니다.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둡니다.
2. 농촌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의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니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감전위험이 있으니 고압전선 근처에 가지 말아야 합니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바람에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바람에 날아갈 수 있는 물건을 단단히 묶어둡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집 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급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둡니다.
 경작지 용·배수로를 점검하러 나가는 것은 위험하니 하지 말아야 합니다.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시설물을 미리 점검합니다.

3. 해안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의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니다.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에 살고 있는 분은 대피해야 합니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말아야 합니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니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해안도로 운전은 피해야 합니다.
 천둥·번개가 치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해 둡니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신고합니다.
 집 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급니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합니다.
 라디오, TV, 인터넷, 스마트폰 등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둡니다.
 바닷가 근처나 저지대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니다.
 어업활동이나 선박을 묶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하는 행위를 하지 말아야 합니다.
 해수욕장을 이용해서는 안 됩니다.


  태풍 경보 때는

1. 도시지역에서는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의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건물의 간판이나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 안에 있도록 합니다.
낡은 창호는 강풍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니 미리 교체하거나   창문을 창틀에 단단하게 고정시켜 틈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해야 합니다.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해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창틀과 유리 사이의 채움재가 손상되거나 벌어져 있으면 유리창이 깨질 위험이 있으므로, 틈이 없도록 보강해 주어야 합니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막읍시다.
 바람에 날아갈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2. 농촌지역에서는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합시다.
 논둑을 점검하거나 물꼬를 조정하러 나가는 것은 위험합니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 근처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산사태 징후가 있는 때는 》


 장마철에는 어느 때 보다도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주변에서 다음과   같은  산사태 발생 징후가 보이면 빨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을 때
  ► 이때는 땅속에 과포화 된 지하수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산사태의 위험이 커진다.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출 때
  ► 이때는 산위의 지하수가 통과하는 토양층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므로
    위험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갑자기 산허리의 일부가 금이 가거나 내려앉을 때
  ► 이는 산사태가 발생하는 조짐이므로 미리 대피하는 것이 좋다.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때, 산울림이나 땅울림이
   들릴 때
  ► 산사태가 이미 시작된 것으로 즉시 대피하고 행정기관에 신고해야 한다.



3. 해안지역에서는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근처에 위험한 물건이 있다면 미리 치웁시다.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선박을 묶거나 어망·어구 등을 옮기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가족 간의 연락방법이나 대피방법을 미리 확인합시다.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시에는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도 아무 물이나 마시지 말고 물은 꼭 끓여 드십시오.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함부로 손대지 말고 전문 업체에 연락해 안전성 확인 후 사용합시다.
 피해를 입은 사유시설 등을 보수·복구할 때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두십시오.
 제방이 무너질 수 있으니 제방 근처에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에 대비합시다
1. 엘리베이터 안전사고를 이렇게 예방합시다.
 엘리베이터 내에 부착된 유의사항을 지켜야 합니다.
 탑승정원이나 적재하중의 초과는 고장과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조작반의 인터폰, 비상정지스위치 등을 장난으로 조작하지 맙시다.
 버튼을 불필요하게 누르거나 난폭하게 다루지 맙시다.
 운행 중인 엘리베이터 내에서 뛰거나 심한 장난을 하지 맙시다.
 엘리베이터 출입문을 흔들거나 손으로 밀지 말아야 하며 출입문에 기대지 맙시다.
 정전으로 엘리베이터가 멈추거나 실내등이 꺼지면 침착하게 인터폰으로 연락합시다.
 엘리베이터가 도중에 정지하면 임의로 탈출하지 말고 인터폰으로 구조를 요청합시다.
 비상환기구는 탈출구가 아니므로 열려고 하지 맙시다.
 구조를 요청하여 구출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구조요원의 안내에 따라야 합니다.
 엘리베이터 내에서는 담배를 피우지 맙시다.
 굉음이 들리거나 진동이 있으면 인터폰으로 연락합시다.
 어린이나 노약자는 가급적 보호자와 함께 탑승하도록 하고 애완동물은 안고 탑승합시다.
 지정된 용도 이외에는 사용하지 맙시다.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하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출입문의 문턱 틈이나 문사이에 이물질을 버리지 맙시다.
 관리자의 입회·허락 없이 크거나 무거운 화물을 무단으로 싣지 맙시다.

2. 화재시의 엘리베이터 안전은 이렇습니다.
 빌딩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엘리베이터는 이용하지 맙시다.
  ► 반드시 계단을 이용하여 피난하시고, 빌딩 내의 모든 엘리베이터는 지상 층으로 불러들여 문을 닫고 정지시켜야 합니다.
 엘리베이터 수직통로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 가까운 층에 내린 후, 관리실에 즉시 연락합시다.

3. 에스컬레이터는 이렇게 이용합시다.
 의복, 스카프 등이 틈새에 끼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핸드레일을 잡아주세요.
 황색 안전선 안쪽에 타야 합니다.
 가장자리에는 발이 닿지 않도록 합시다.


 유아와 애완동물은 안고 타야하며 어린이나 노약자는 보호자의 손을 꼭 잡고 타야 합니다.
 천천히 타도록 하고, 우측에 서서 가야 합니다(왼쪽은 보행자를 위해 비워둡니다).
 주행방향을 거슬러 타거나 장난을 하지 맙시다.
 어린이가 에스컬레이터 위에서 놀지 않도록 지도합시다.
 계단에 앉거나 맨발로 타지 맙시다.
 동전, 열쇠 등을 떨어뜨리지 않도록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도록 합시다.
 유모차 등은 접어서 들고 타야 합니다(수평보행기 제외).
 화물을 싣거나 계단에 놓지 맙시다(수평보행기 제외).
 담배를 피우거나 꽁초, 쓰레기 등을 버리지 맙시다.
 비상정지 버튼을 함부로 누르지 맙시다.
 핸드레일 밖으로 머리나 팔을 내밀지 말아야 합니다.

이전글 충북청소년통일아카데미 및 함께하는 통일캠프 모집 안내
다음글 2016. 세대공감 캠핑 페스티벌 운영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