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명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정서행동 선별검사
작성자 임수란 등록일 11.04.20 조회수 311
첨부파일
가정통신.hwp (29KB) (다운횟수:15)

사업의 목적

󰋼 학교의 역량강화 및 예방지원시스템 구축으로 학생 정서행동문제 예방

󰋼 생 정서행동 선별검사 체계 구축으로 정신건강문제 조기 발견 및 악화방지

󰋼 관련 부처와의 협력 강화로 학생 정서행동 발달지원의 효율성 제고

 

중요성 및 필요성

최근 건강에 대한 개념은 단순한 질병예방이나 치료에서 더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어 정신보건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학교에서는 학업문제, 또래 집단에서의 따돌림(왕따), 적응장애, 문제행동, 학생들 간의 폭력, 자살 등이 가장 큰 문제들로 교사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2008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자료에 의하면 청소년의 10명 중 4명은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으며, 13~18세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전체의 43.7%, 남학생 38.1%, 여학생 50.1%, 우울감 경험률은 38.8%, 남학생 34.0%, 여학생 44.3%, 자살 생각률은 전체 18.9%, 남학생 15.4%, 여학생 22.9%, 자살 시도율은 전체 4.7%, 남학생 3.7%, 여학생 5.9% 이었습니다.

청소년의 정신과 질환의 발생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최근에는 병리적인 검사에 의한 뇌의 변형이 관계되는 것으로 이야기 되고 있습니다. 특히 뇌 변형은 진행될수록 정상생활로의 복귀가 어려워지는 것으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며 조기 개입을 위해서는 정신건강에 대한 사회적 편견 없이 학생들의 건강한 정서행동발달 지원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사업이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학교에서 체계적인 정신건강 사업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교사와 가정, 그리고 지역사회 모두가 협조체제를 이루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사업의 시작인 학생 정서행동 선별검사를 위해서는 학생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선생님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을 사랑하시는 선생님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이전글 약물예방교육 및 응급처치
다음글 성희롱성폭력 예방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