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화초등학교 로고이미지

효사랑자료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인사 예절
작성자 성화초 등록일 09.05.07 조회수 237

인사 예절

 • 인사는 전통 배례를 할 수 없는 장소에서 하는 절로 상황과 장소, 대상에 따라 인사의 방법이 다르다.

  • 한복을 입고 인사할 때는 공수하고 인사함을 원칙으로 한다. 양복을 입었을 때는 손을 바지의 양옆에 대고 공손한 자세로 경례해도 되지만 아주 공손한 경례를 하려면 공수한 자세로 하는 것이 좋다.

  • 내가 먼저, 상대를 바라보며, 밝은 표정, 큰 목소리로 상황에 맞게 정성을 담아서 인사한다.

  • 인사는 네 박자(① 하나에 숙이고, ② 둘에 멈추고, ③ 셋, 넷에 천천히 일어난다)에 맞추어 인사한다.

  • 허리부터 윗몸을 숙이며 상황에 맞는 각도로 허리를 굽혀 인사하며, 인사를 통해 상대방을 존경하고 친밀감을 줄 수 있는 인사말을 쓰도록 한다.

  • 웃어른에게는 반드시 경어를 사용하며 인사말을 한다.

  • 인사는 일반적으로 30보 이내에서(인사 대상과 방향이 다를 때)하며, 가장 좋은 시기는 6보정도 앞에서(인사 대상과 방향이 마주 칠 때) 하는 것이다. 또한 측방이나 갑자기 만났을 때에는 즉시 인사한다.


 • 화장실이나 식당에서 밥을 먹고 있을 때 그리고 운전을 하는 도중에 아는 사람을 만났을 때 하는 인사 방법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많이 아는 척을 하는 것은 오히려 상대방에게 실례가 된다.

  • 웃어른이 아랫사람에게 답례하거나 조금 전에 만난 사람을 또 만났을 때 하는 인사 방법이다.

  • 낯선 사람일지라고 복도나 계단, 엘리베이터 등에서 만났을 때, 가볍게 하는 간략한 인사 방법이다.

  • 부드러운 시선으로 상대를 보고 미소 지으며 가볍게 고개만 숙여 인사한다. 이 때 뛰어가면서 급히 인사하면 안 된다.


 • 상대의 얼굴을 주시하면서 웃는 얼굴로 악수해야 한다.

  • 오른쪽 팔꿈치를 직각으로 굽혀 손을 자기 몸 중앙이 되게 수평으로 올린다.

  • 네 손가락은 가지런히 펴고 엄지는 벌려서 상대의 오른손을 살며시 쥔다.

  • 손을 너무 세게 쥐거나 손끝만 내밀고 악수해서는 안 된다. 쥐는 힘이 약하면 성의가 없다고 생각한다. 손을 적당한 정도의 힘으로 잡는다.

  • 계속 손을 잡은 채로 말을 해서는 안 되며, 인사가 끝나면 곧 손을 놓는다.

  • 상대방이 손을 내밀고 기다리지 않게 한다.

  • 두 손으로 잡거나 악수할 때 허리를 굽혀 인사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단 윗사람과 악수할 때는 윗몸을 약간 굽혀서 경의를 표해도 좋다.

  • 손을 흔들어서는 안 되며 아첨이나 비굴한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된다.

  • 악수는 윗사람이나 여자가 먼저 청하는 것으로 아랫사람이 손을 먼저 내밀어서는 안 된다.

  • 예식용 장갑을 착용하고 있거나 상대가 장갑을 낀 채로 요청하면 낀 채로 응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방한용 장갑은 벗고 악수하며, 젖은 손으로 악수해서는 안 된다.

  • 부부의 경우 남자와 먼저 악수하는 것이 예의이지만, 상대방이 여자가 먼저 요청해 올 경우 남편보다 먼저 응해야 여성에 대한 예의이다.

  오른손에 물건을 들고 있을 때는 빨리 왼손으로 옮기거나 땅에 놓고 악수를 청하거나 응해야 한다. 오른손에 들고 있다고 해서 왼손을 내밀어 악수를 청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


 • 혼례, 상례, 장례, 제례 등의 의식행사에서 전통 배례를 하지 못할 때 하는 인사이다.

  • 인사 방법은 윗몸을 90°로 정중히 굽혀서 한다.


 • 큰절을 하는 경우에 하는 인사이다.

  • 상대방에게 감사의 기분을 전하고 싶을 때, 사과할 때,

    정중히 인사할 필요가 있을 때, 그리고 배웅할 때 한다.

  • 등을 펴고, 윗몸을 허리에서 45°앞으로 깊이 굽혔다가

    잠시 후에 몸을 일으킨다. 몸을 일으키고 다시 상대방을

    보며 경의를 표한다. 시선은 발끝에서 1m 앞에 두고 정

    중하게 인사한다.

 • 머리를 숙이지 말고 허리에서 윗몸을 숙이며, 허리의 선은 직선이 되도록 한다.

  • 양손은 단정히 모으거나, 바지 옆에 붙인다.

  • 다리를 가지런히 하고 무릎은 구부리지 않는다.


 • 평절을 하는 경우에 하는 인사이다.

  •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인사법

    으로 윗분이나 손님, 또는 고객을 맞이할 때 하는 일반  적인 인사이다.

  • 두 손을 앞으로 모아 공수한 자세를 취한다.

  • 상대방을 바라본 후 윗몸을 30°정도 앞으로 굽혀 인  사한다.

 

  • 목을 구부리지 않고 윗몸을 굽혀 인사하고 시선은 발끝에 서 1m앞에 둔다.

  • 인사한 후 상대방을 보고 미소 짓는 것을 잊지 않도록 한다.

  • 인사 후에 상황에 알맞은 인사말을 한다.

  • 가벼운 인사보다 깊게 윗몸을 기울이고, 원래대로 되돌아오는 동작의 구분을 분명히 한다.

  • 윗몸을 앞으로 숙이고 멈추는 시간은 상대에 따라 조절한다.


 

 • 목을 구부리지 않고 윗몸을 굽혀 인사하고 시선은 발끝

    에 반절을 하거나 간략한 예를 표시하는 경우의 인사이다.

  • 복도, 실내, 엘리베이터 등 좁은 장소에서 상사 및 동료

    직원 간에, 또는 아랫사람에게 하는 간단한 인사이다.

  • 윗몸을 15°정도 앞으로 기울여 잠깐 멈추었다가 원래대로 바로 선다.

  • 직장에서는 가벼운 인사를 한다.

 • 목이 아닌 허리부터 굽힌다. 시선은 인사의 전후에 상대의 목쯤에 두고, 손은 조금 옆으로 이동하는 정도에서 그친다.

  • 아랫사람이 먼저 시작해서 늦게 끝내고 윗사람은 나중에 시작해서 먼저 끝낸다.

  • 윗사람에 대한 경례는 윗사람의 답례가 끝난 후에 고개와 눈길을 본래의 위치로 돌린다.


 • 공경하는 대상을 눈길로 우러러보는 동작이다.

  • 국기에 대한 경례는 오른손 손바닥이나 오른쪽 손에 쥔 모자를 왼쪽 가슴에 대고 잠시 머물렀다가 원자세로 돌아간다.

  • 단체로 주목 경례를 할 때는 지휘자의 구령에 따라 동작한다.


 • 제복을 입은 사람의 경례로 오른손을 펴서 손끝이 오른쪽 눈썹에 닿도록 손을 올린다.

  • 오른팔을 양어깨와 직선이 되게 수평으로 올리고 팔꿈치를 머리 쪽으로 굽혀 다섯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서 편 다음 검지와 중지의 끝이 오른쪽 눈썹이나 모자 차양에 닿도록 잠시 있다가 내린다.

  • 아래 사람이 먼저 시작해서 늦게 끝내고 윗사람은 늦게 시작해서 먼저 끝낸다

이전글 식사 예절
다음글 옷차림 예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