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중앙중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청소년 정신건강(생명존중및 자살예방)가정통신
작성자 유경숙 등록일 14.09.24 조회수 297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가정에 건강과 사랑이 충만하시길 기원합니다.

청소년기는 친구와의 관계, 학업에 대한 부담감, 가족 관계 갈등 등의 원인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최근 청소년 자살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러 생명존중과 정신건강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자녀와 좋은 관계를 이어 가면서 혹시 발생할 수 있는 부적응 및 우울증, 학생에 대한 상담 및 치료가 가능한 유관기관과 정신건강 및징후에 안내문을 보내 드리니 자녀교육에 참고하시기 바라며 귀댁의 건승하심을 기원합니다.

정신 건강- 스트레스관리편

스트레스로 인해 긴장하고, 걱정이 많아지고, 불안한 것은 어느 정도까지는 정상적이다. 그럼 내적인 스트

레스 요인을 해결하고 스트레스로부터 나를 보호하기 위한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5가지 지침

하나, 심리적 심성을 기르자.

나는 어떤 사람인가, 내 성격은 어떤가, 내 장점과 약점은 무엇인가 하는 것들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습관이 필요하다. 자기를 아는 것은심리적으로 가장 강한 힘이 된다.

, 다른 사람과의 대화를 즐기자.

내 마음 속에 있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털어놓다 보면스스로 정리가 된다. 가끔은 기대하지 않은 좋은 조언도

듣게 되죠. TV나 컴퓨터에만 몰두하지 말고 직접 사람을 만나자.

, 건강 생활 습관을 갖자.

운동, 식사, 규칙적 생활, 휴식 등은 여유가 있을 때나 생각하는 것이 아니다. 마음과 몸의 건강을 위해서는 가장 먼저 챙겨야 하고, 일이나 공부에 의해 희생되어서는 안되는 우선적인 것이다.

, 도움을 구하십시오.

그다지 어렵지 않고 좋은 정신 건강 관련 서적을 찾아보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전문가를 직접 찾아가는

것이다. 심리 상담은 질병 치료의 수단이기도 하지만 일차적으로는 자기 발전과 적응력 향상의 수단이다.

만일 이미 병적인 우울증이나 불안증이 아닌가 의심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다섯, 마음을 다스리자.

어느 정도 선에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스트레스를 이길 준비가 되어 있다. 종교를 갖는 것도 좋고 명상,

요가, 근 이완요법, 운동 등을 통해서도 효과를 볼 수도 있다.

정신 건강- 우울 관리편

우울증은 슬픔이나 짜증이 심하고 일상생활이 즐겁지 않은 상태가 지속되는 것으로 일종의 정신장애에 해당하고, 우울증이 오래되면 개인뿐 아니라 가족, 학교, 직장에서의 어려움을 동반하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우울증의 원인

친구와의 이별, 친구와의 말다툼, 친구의 죽음, 부모님과의 갈등, 부모님의 이혼, 신체적 질병이나 외모, 유전적인 요인 등이 있다.

우울증의 증상

- 자존감 저하, 집중력과 기억력 감소, 자살 생각 및 시도

- 비행, 가출, 결석

- 수면양의 변화, 식욕과 체중의 변화, 두통 등 신체 증상

- 조절되지 않는 분노, 죄책감, 짜증, 불안

우울증의 예방과 치료

긍정적 사고 -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적당한 운동 - 하루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여 불안감을 없애도록 한다.

금연 - 흡연가는 비흡연가에 비해 우울증 발생률이 2배나 높다.

일광욕- 햇볕은 대뇌의 움직임을 활력 있게 하고 우울증치료에 도움이 되는 세로토닌을 생성하므로 하루 20분 정도 일광욕을 하는 게 좋다.

적당한 수다- 나쁜 감정은 쌓아두지 말고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사람과 수다를 떨어 풀도록 한다.

정신 건강- 자살충동예방

자살 경보 신호

갖고 있던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주어 버린다.

유언장을 쓴다.

자살과 관련된 낙서, 글을 쓰는 행동을 보인다.

자살에 대해 말하거나 농담하는 일이 많아졌다.

무력감과 절망감을 호소한다.

약을 모은다.

더 이상은 못하겠어’ , ‘끝내버리고 싶어와 같은 말을 한다.

자살하려는 구체적인 계획을 갖고 있다

잠을 잘 못 잔다.

잘 못 먹거나 아니면 마구 먹는다.

활력이 없거나 위축되어 있다.

침울하거나 괴로워하던 표정을 짓던 사람이 갑자기 평온한 상태를 보인다.

자살 경보 신호가 보일 때 필요한 도움

자살 경보 신호를 무시하지 않는다.

만약 자살을 주제로 이야기하기를 원한다면 피하지 말고 조용히 들어준다.

놀라거나 비난하거나 혐오스러운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다 잘될거야와 같이 무책임한 확신을 준다든가, ‘매사에 감사할 줄 알아야지라는 진부한 소리를 늘어놓지 않는다.

자살 경보 신호를 보인 사람을 혼자 내버려 두지 말고, 즉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한다.

1

자살하려는 청소년들은 자신의 문제가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한다

o

2

자살하겠다고 얘기하는 청소년들은 실제로 자살하지 않는다

x

3

자살하거나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 청소년들은 보통의 청소년들하고는 다르다

x

4

자살하려는 청소년은 죽으려는 의지가 확고하다

x

5

자살은 예방가능하다

o

6

자살하려는 청소년들은 대부분 정신적 장애를 앓고 있다

x

7

자살을 시도했던 청소년이 안정을 찾기 시작하면 안심해도 된다

x

8

대부분의 자살한 청소년들은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문제에 대해 도움을 요청한다

o

9

자살은 유전된다

x

10

자살을 생각하고 있는 청소년에게 관심을 기울이면 자살예방에 도움이 된다.

o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담실(중앙중학교 상담실) 및 전문기관

충주시 정신보건센터 1588-0199 043-855-4006

자살 예방사이트 1577-0199 www.suicide.or.kr

한국 생명의 전화 1588-9191 www.lifeilne.or.kr

2014926일 충주중앙중학교장

이전글 비만예방 가정통신
다음글 유행성 각결막염 예방수칙 가정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