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중앙중학교 로고이미지

진로소식 및 드림레터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비만예방 가정통신
작성자 유경숙 등록일 14.09.01 조회수 184

학부모님 댁내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

근래 건강수명에 대한 화두가 등장하면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비만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아래 사항을 참고하셔서 비만학생의 지속적인 건강관리 및 체중관리가 되도록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1.2014년 본교학생 비만현황(6월기준)

 

학교명

전체학생수

비만도

비 만 학 생 수

1학년

2학년

3학년

중앙중

학교

300

366

666

경 도

2

7

3

9

2

8

7

24

31

중등도

6

9

9

6

7

15

22

30

52

고 도

3

5

2

1

5

2

10

8

18

11

21

14

16

14

25

39

62

101

 

2. 나의 키와 체중을 이용한 비만 평가 계산법

비만도(%) =

실측제중 - 신장별 표준체중

× 100

신장별 표준체중

표준체중=[(cm)-100]× 0.9

비만도

10-20%미만

20-30%미만

30-50미만

50%이상

판 정

과체중

경도비만

중등도비만

고도비만

3. 비만 관리방법

1). 식사 요법

정상인 남자의 총칼로리 섭취량은 2100 - 2800 kcal/1, 여자는 1800 - 2200 kcal/1일이며 비만증 환자는 그 절반 1000 - 1500kcal로 감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질과 지방질의 과잉섭취를 줄이고, 단백질은 충분히 섭취합니다. 식사 횟수는 3 - 4회로 나누어 소량씩 먹도록 합니다.

식사의 성분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이 균형 있게 들어 있어야 하고 비타민, 무기질도 꼭 포함되어야 합니다.

- 식사의 양만을 줄이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칼로리의 양이 줄어들어야 합니다.

- 공복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채소의 섭취를 많이 하도록 합니다.

2). 운동 요법

비만증으로 인해 피로감, 권태감, 무기력 등으로 매사에 게을러지며, 이로 인해 비활동적으로 되어 운동량이 감소되어, 비만증은 악순환이 되풀이 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이 비만증 치료에 중요합니다.

지속적인 서서히 하는 운동이 효과적입니다

자신의 신체조건을 고려치 않은 익숙치 못한 운동이나 갑작스런 격렬한 운동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관절손상, 인대손상, 관절염악화, 협심증, 심근경색증)

일상생활을 수행하면서도 부담없이 시행할 수 있는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걷기, 산책, 맨손 체조, 계단 오르내리기, 자전거 타기)

3. 나의 생활습관 체크하기

나의 생활습관 체크리스트 결과 다음과 같이 세 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디에 속할지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해 봅시다.

(1) 스텝 비만(3개 이하)

매일 규칙적으로 운동만 해도 정상 체중으로 돌아갈 수 있는 스타일. 식습관이 생활습관이 나쁘지 않다면 조금만 신경을 쓰면 건강한 몸과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스텝 비만(6개 이하)

식습관, 생활패턴이 문제이므로 식습관과 생활패턴을 동시에 개선해야 합니다. 먹는 패턴만 바꾼다고 비만이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저칼로리 고단백 위주의 음식을 골라 먹어야 하고 정해진 시간에 조금씩 먹습니다. 식생활의 변화로 몸의 컨디션이 좋아지면 자연적으로 생활에 리듬이 생기게 됩니다.

(3) 스텝 비만(12개 이상)

식습관, 생활패턴, 운동습관 모두 문제가 있습니다. 즉 생활 습관을 바꾸어야 합니다. 음식은 반드시 엄마가 만든 음식을 먹는다든지, 몸을 많이 움직이게 방의 구조를 바꾸어 놓는다든지, 매일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게 한다든지 등, 그리고 세 가지 중에 한 가지만 하지 않아도 다이어트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나의 생활습관 체크하기

다음 내용을 읽고 해당되는 문항에 체크한 후 무엇을 개선해야 할지 고민해 봅시다.

1. 달고 기름진 고칼로리 음식을 좋아한다.

2. 배가 고프지 않아도 습관적으로 먹고 싶어 한다.

3. 음식을 먹기 위해 갖은 핑계를 댄다.

4. 인스턴트 음식을 선호한다.

5. 식사가 불규칙적이다.

6. 주로 밤에 식욕이 당긴다.

7. 한꺼번에 많은 양을 먹는다.

8. 과자류, 탄산음료 같은 간식을 자주 먹는다.

9. 음식을 매우 빨리 먹는다.

10. 음식을 살 때 항상 많은 양을 고른다.

11. 먹고 나서 먹었다는 사실을 후회하거나 죄책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12.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에 대해 별로 상관하지 않는다.

13. 다른 사람과 함께 먹기보다는 혼자 먹기를 좋아한다.

14. 움직이는 것을 싫어한다.

15. 친구와 어울려도 항상 먹는 것에 더 집중한다.

16. 음식으로 보상받는 것을 즐긴다.

17. 운동량이 많은 스포츠를 하지 않았다.

18. 매사 귀찮아하는 일이 많다.

 

이전글 2014. 찾아가는 학부모 강연콘서트 홍보 안내
다음글 2014학년도 2학기 학부모상담주간 및 학교설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