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초중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소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비만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질병
작성자 최향숙 등록일 09.06.16 조회수 74
  1. 성인병을 부르는 어린이 비만

  1) 당뇨

  정상인에 비하여 비만인에게는 당뇨로 진행될 가능성이 3배 이상입니다. 당뇨라는 것은 우리 몸에서 정상적으로 흡수되어야 될 당 성분이 몸에 이상이 있는 관계로 소변 속으로 빠져 나오게 되므로 우리 몸에 균형을 잃게 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2) 고혈압 및 심장혈관 질환(동맥경화증)

  비만인에게서 고혈압질환의 발새빈도가 정상인에 비해 10배 높다고 한다. 더욱이 비만인 고혈압 환자는 정상 체중을 가진 고혈압 환자에 비하여 동맥경화증과 같은 심장 및 혈관질환을 가지게 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한다.

  3) 담석증

  비만인은 혈중 내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증가되어 이에 의한 담석증을 잘 일으키게 된다. 더욱 좋지 못한 것은 이러한 환자들이 수술을 받게 될 경우에 수술에 따른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여 심한 경우에는 사망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4) 암의 발생률 증가

  비만 여성은 자궁암과 유방암의 발생률이 2~3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간암의 발생률도 높다고 한다. 한편, 비만 남자의 경우에는 직장암, 대장암과 전립선암의 발생률이 매우 높게 관찰된다고 한다.

  5) 기타 성인병

  성인병 검사에는 흔히 문제가 되고 있는 지방간과 고지방혈중, 무좀을 비롯한 피부곰팡이 염증, 퇴행성 관절염, 신경염, 만성 호흡문제 등의 성인에서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들의 발생빈도가 정상체중을 가지고 있는 성인에 비하여 비만인인 경우 현저히 높다.


 2. 소아비만과 건강

  1) 소아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될 가능성이 높다.

  비만은 지방세포의 수가 증가하여 발생하는 비만과 지방세포의 크기가 증가하여 발생하는 비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방세포의 수는 임신기간과 생후 1년 이내에 매우 빠른 소고로 증가하고, 이후에는 서서히 사춘기까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신생아 및 영아기에 발생한 비만의 경우는 주로 지방세포가 증가하여 생기고, 이후 사춘기까지는 주로 세포의 크기가 커져 일어나서 세포수가 증가하는 시기에 발생한 소아비만이 성인비만으로 쉽게 이행된다고 추측할 수 있다.

  2) 비만아동들에게서 많은 수의 성인병이 발견되고 있다.

  고혈압은 일반아동의 4.5%에서 발견되는 반면에, 비만아동에서는 16.6%로 비만아동도 이미 많은 수가 혈압이 높아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방간과 고지방혈증 (혈청콜레스테롤 증가도 중등도 내지는 고도 비만아 동에서 많이 관찰되고 있다.

이전글 6월 보건소식
다음글 비만예방을 위한 운동요법